채권이란? 채권의 개념과 종류
주식에서 더 넓은 범위로의 재테크 확장하려면 채권이라는 개념을 알게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채권이 무엇인지 그 개념과 종류를 알아보겠습니다.
1. 채권의 정의와 개념
채권은 누군가에게 돈을 빌려주고 나중에 돌려받는 약속입니다. 차용증 같은 것이라고 보면 이해하기가 쉽습니다.
나라나 회사가 돈이 필요할 때 사람들에게 빌려달라고 하고, 대신 "언제까지 갚겠습니다" 하고 약속하는겁니다. 그리고 돈을 갚을 대 이자도 함께 줍니다.
예를 들어, 한 국가가 다리를 만들고 싶어서 큰 돈이 필요하다고 해보겠습니다. 그 국가는 "우리에게 돈을 빌려주세요. 1년 뒤에 돈을 갚고, 이자도 드릴게요!" 라고 하면 사람들이 돈을 빌려주고, 나라는 약속한 날짜에 돈과 이자를 돌려주는 겁니다. 은행에서 큰 돈을 빌리기 어려울 때, 회사나 기업은 이런 방식을 많이 사용합니다.
2. 채권과 주식의 차이점
채권과 주식은 모두 투자하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차이가 분명하게 있습니다.
채권은 국가나 회사에 돈을 빌려주는 것이고, 만기가 되면 원금과 이자를 돌려받습니다. 그래서 정해진 날짜에 얼마가 다시 들어올지를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안정적이고 위험이 적습니다.
하지만 주식은 그 회사의 주주가 되는 것입니다. 즉 회사의 주인이 된다는 것입니다. 회사가 잘되면 돈을 더 벌 수도 있지만, 회사 상황이 안좋아지면 돈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위험은 크지만 대신 수익은 채권보다 클 수 있습니다.
3. 채권의 종류와 특징
채권은 발행하는 주체나 목적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1) 국채
국가가 발행하는 채권입니다. 안정성이 높아서 사람들이 많이 믿고 투자한다고 합니다. 예) 한국 정부가 발행하는 국채
(2) 회사채
회사가 돈을 빌리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입니다. 국채보다는 조금 위험하지만 이자를 더 많이 줍니다. 예) 삼성전자 회사채
(3) 금융채
은행 같은 금융회사가 발행하는 채권입니다. 은행을 믿고 투자하는 사람들이 많다고 합니다.
4. 해외 채권의 종류와 개념
채권은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에서도 발행할 수 있고, 우리나라 회사가 다른 나라에서 채권을 발행해 달러를 빌려올 수도 있습니다.
해외 채권은 외국에서 발행하거나 외국 돈으로 거래되는 채권입니다. 따라서 마치 해당국에서 발행된 국내채권처럼 그 나라의 모든 규제를 동일하게 따라야합니다.
지역과 발행 주체에 따라 독특한 이름들이 있습니다.
(1) 양키본드
미국에서 외국 회사가 미국 돈(달러)으로 발행하는 채권입니다.
예) 한국회사가 미국에서 양키본드를 발행
(2) 사무라이본드
일본에서 외국회사가 일본 돈(엔화)으로 발행하는 채권입니다.
(3) 불독본드
영국에서 외국회사가 영국 돈(파운드)으로 발행하는 채권입니다.
(4) 아리랑본드
한국에서 외국회사가 한국 돈(원화)으로 발행하는 채권입니다.
(5) 유로본드
유로 본드라고 하면 유럽에서 발행하는 채권이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유로본드는 주로 표시 화폐 국가를 벗어나 다른 국가에서 거래되는 채권을 뜻합니다.
예를들어, 미국 달러로 표시된 채권이 미국 이회의 국가에서, 혹은 원화로 표시된 채권이 한국 이외의 국가에서 거래되는 것이 유로본드의 예입니다.
이 유로본드는 역외에서 거래되는 덕분에 해외채권이 준수해야 하는 많은 규제로부터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마무리
어려워보이는 채권의 기본 개념은 간단합니다.
국가나 회사가 돈을 빌려달라고 약속하고, 안정적으로 원금과 이자를 돌려주는 하나의 투자 방법입니다.
국내 채권 외에도 양키본드, 사무라이본드, 불동본드, 아리랑본드처럼 독특한 이름의 해외채권도 있습니다.
다양한 채권의 특징을 알고 투자에 활용하는 기본기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눌러주세요. 감사합니다~
'재테크와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딥시크, 중국 AI의 새로운 도전: 챗gpt를 능가할 수 있을까? (0) | 2025.01.31 |
---|---|
[주식 기초] 꼭 알아야 하는 주식, 배당 관련 용어 (0) | 2025.01.28 |
[주식의 기초] 가치주와 성장주 / 가치주 이상현상이란? (0) | 2025.01.21 |
[주식의 기초] PBR , PER, 그리고 케이프실러의 PER (0) | 2025.01.21 |
[주식의 기초] 랜덤워크 (Random Walk) 이론이란? (0) | 2025.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