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와 주식

[주식의 기초] 주식의 가격, 주가는 어떻게 형성될까? /주가가 변하는 이유

by 비앙코오 2025. 1. 21.
728x90
반응형

화려한 테크닉의 바탕에는 가장 기본적이 개념들을 갖고 있어야 한다는 게 제 의견입니다.

그래서 최근에 이관휘 교수님의 책 "투자의 기초" 를 읽으며 공부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1. 주식의 가격은 어떻게 형성될까?

주식을 하다보면, 이 가격이 적정가격인지 저평가된 주식인지 고평가된 주식인지 참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그러다보니 궁금한 점이 도대체 이 가격은 어떻게 형성된 것일까? 라는 생각입니다.

그에 대한 해답이 이관휘 교수님의 "투자의 기초"에 잘 나와있습니다.

 

주식의 가격을 나타내는 주가를 설명하기 전에 배당이라는 개념을 알아야합니다.

배당금은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발생한 이익의 일부 또는 전부를 투자자에게 나눠주는 것입니다.

주가는, 앞으로 여러 번에 걸쳐 받을 모든 배당을 현재 가격으로 할인한 뒤 더한 값이라고 합니다.

 

기업의 펀더멘털은 기업이 현금을 벌어들이는 능력을 말하는데, 이 펀더멘털이 좋을수록 배당금을 줄 수 있는 능력이 좋다, 주가가 높게 형성된다라는 것입니다.

 

2. 주가가 항상 변하는 이유

주가가 배당에 의해서 정해진다는 것은 이제 알았는데, 그러면 주가는 왜 그렇게 항상 변하는 것일까요?

여기에서 저평가된 주식과 고평가된 주식이 나옵니다.

 

예를들어 주식도 하나의 제품이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주식을 어떤 제품이라고 생각하고, 그 제품이 너무 좋아 사려고 하는 사람이 많아지면(수요가 올라가면) 그 제품의 가격은 올라가게 됩니다. 물품도 어제가격 다르고 오늘 가격 다른 게 있잖아요~ 주식도 마찬가지입니다.

또 마찬가지로 고평가된 주식은 사지 않으려고 하는 사람이 많고 팔려고 하는 사람들이 많겠습니다(공급 증가). 그러면 가격은 저절로 떨어지게 됩니다. 안팔리니까요.

 

다시 주식의 관점으로 돌아온다면, 

저평가된 주식은 주가가 기업의 펀더멘털보다 낮은 경우이고 고평가된 주식은 주가가 펀더멘털보다 높은 경우라고 합니다.

그러면 저평가된 주식에 매수세가 몰리면서 주가가 올라라고, 고평가된 주식은 매도세가 몰리면서 주가가 내려가면서 적정가격에 도달하게 되는 것이지요.

 

결국 매수와 매도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면서 시장가(적정가격)을 찾아간다는 이야기입니다.

시장의 적정가격은 기업의 펀더멘털 즉, 내재가치를 따라간다는 소리이겠지요.

 

그래서 기업공부를 하고, 기업의 재무제표 공부를 하는겁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아무리 좋은 기업이어도 국장에서는 차익을 실현할 수 없다라고들 하지만..

잘 찾아보면 좋은 종목들을 발견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하고, 장투 성향에 맞는 투자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지금까지 주식의 가격 형성 원인과 과정을 알아보았는데요,

 

가격 형성의 원인과 과정 속에서 투자에 성공하려면 역시 저평가된 주식과 고평가된 주식을 잘 판단해서 투자하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해당 게시물의 정보가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