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와 주식

[주식 필수 개념] 박스권이란? 주식 투자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개념

by 비앙코오 2025. 2. 19.
728x90
반응형

 

주식 투자를 하다보면 "박스권"이라는 용어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박스권을 이해하면 매매 전략을 세우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박스권의 의미와 이를 알아보는 방법, 박스권 돌파 시 고려해야할 사항, 그리고 박스권 내 지지와 저항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박스권이란?
2. 박스권 알아보는 방법
3. 박스권 돌파 시 판단해야 할 것들
4. 박스권에서의 지지와 저항

 

1. 박스권이란?

 

박스권이란 주가가 일정한 범위 내에서 등락을 반복하는 구간을 의미합니다. 마치 상차(Box) 안에 갇힌 듯한 움직임을 보인다고 하여 박스권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주식 박스권 예시 사진

보통 일정한 가격대에서 지지와 저항이 형성되며, 주가는 이 범위를 쉽게 벗어나지 않습니다. 박스권이 지속되는 동안 투자자들은 단기 매매 전략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2. 박스권을 알아보는 방법

 

박스권을 찾기 위해서는 차트를 분석해야 합니다.

다음과 같은 방법을 활용하면 박스권 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있습니다.

 

1) 고점과 저점이 일정한 범위 내에서 반복되는지 확인

- 주가가 특정 가격대에서 지속적으로 반등하거나 하락하는지 살펴봐야 합니다.

- 예를들어, A라는 종목이 10,000원에서 하락했다가 8,000원에 다시 상승하는 패턴을 반복한다면 8,000~10,000원이 박스권이 됩니다.

 

2) 거래량 변화 관찰

- 박스권 내에서는 거래량이 크게 증가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 하지만 저전에서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상승 가능성이 높아지고, 고점에서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하락 가능성이 커집니다.

 

3) 이동평균선을 활용한 확인

- 주가가 20일선이나 60일선 부근에서 반복적으로 반등하는지 확인합니다.

- 이동평균선이 수평을 유지하고 있다면 박스권일 가능성이 큽니다.

 

3. 박스권 돌파 시 판단해야 할 것들

박스권을 벗어나면 주가는 새로운 방향성을 가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돌파가 발생했을 때는 다음 사항을 고려해야합니다.

1) 돌파 방향 확인

- 상방 돌파(저항선 돌파): 주가가 박스권 상단을 돌파하면 상승 추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큽니다.

- 하방 돌파(지지선 이탈): 주가가 박스권 하단을 이탈하면 하락 추세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

 

2) 거래량 동반 여부

- 돌파 시 거래량이 크게 증가했다면 추세 전환이 신뢰할 만한 신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거래량 없이 돌파되면 일시적인 흐름일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3) 재진입 여부 화인

- 돌파 후 주가가 다시 박스권 내부로 돌아오면 "가짜 돌파" 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확실한 돌판인지 확인하기 위해 추가적인 움직임을 지켜보는 것이 좋습니다.

 

4. 박스권에서의 지지와 저항

박스권 내에서 투자 전략을 세우기 위해서는 지지와 저항을 이해해야합니다.

 

1) 지지 (박스권 하단)

- 박스권 하단은 주가가 하락하다가 반등하는 구간입니다.

- 이 지점에서 매수세가 강해지므로 매수 진입 기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하지만 지지선이 무너질 경우 하락 추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손절 전략도 필요합니다.

 

2) 저항(박스권 상단)

- 박스권 상단은 주가가 상승하다가 저항을 받아 하락하는 구간입니다.

- 이 지점에서는 매도세가 강해지므로 매도 타이밍을 잡는 것이 유리합니다.

- 만약 강한 거래량과 함께 돌파한다면 추가 상승 가능성이 있으므로 돌파 후 흐름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728x90

결론

박스권은 주식 차트를 분석할 때 중요한 개념입니다. 일정한 범위에서 주가가 움직이는 박스권을 찾아내면 매수, 매도 전략을 세우기 비교적 쉬워집니다.

 

또한 박스권 돌파 시 거래량과 재진입여부를 확인하여 추세 전환을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박스권 내에서는 지지선과 저항선을 활용한 매매 전략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노릴 수 있습니다.

 

주식 투자를 할 때는 차트를 면밀히 분석하고, 다양한 보조지표를 활용하여 보다 정확한 판단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  박스권 이전의 저점과 고점의 활용▽▼▽

https://guide-to-sweet.tistory.com/4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