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티스토리 에드핏에 광고 승인 신청을 성공하며, 에드고사라고 불리는 에드센스에도 도전 중입니다.
이러한 광고를 다는 것이 의미가 있으려면, 구글과 네이버, 다음 등에서 일단 노출이 되어야합니다.
티스토리는 글을 쓰면 자동적으로 다음에 올라가지만 구글과 네이버는 색인생성 요청을 따로 해주어야합니다.
그런데, 어느순간 글을 올리고 나서 구글에 색인 생성 요청을 했는데 거부를 당하더라구요
색인이 생성되지 않으면 구글 검색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방문자 유입이 어려워집니다.
문제를 해결하고자 구글에서 연결해주는 색인생성 관련 내용을 읽어보고 있자니 내용이 조금 어렵거나 모호하더라구요.
이해하지 못하겠는 말도 있구요.
저와 같은 경험이 있으실 것 같아 이번 글에서는 구글 색인 생성이 거부되는 이유와 해결방법을 상세히 정리해보겠습니다.
1. 중복 콘텐츠로 인식된 경우
구글은 인터넷에 동일한 내용이 존재하는 글을 중복 콘텐츠로 판단하고 색인에서 제외할 수 있습니다.
특히, 같은 글을 네이버 블로그, 브런치, 다음 카페 등에 함께 올렸다면 중복으로 인식될 가능성이 큽니다.
→ 해결방법
- 동일한 글이라도 일부 내용을 수정하여 차별성을 두세요.
- 개인적인 경험을 더 많이 추가하고, 직접 찍은 사진과 상세한 설명을 포함하세요.
- 만약 여러 플랫폼에 올려야 한다면, 문장 구성과 표현을 다르게 작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자동 생성된 콘텐츠로 의심되는 경우
구글은 AI가 생성한 글이나 의미없는 문장이 많은 글을 품질이 낮은 콘텐츠로 인식합니다.
예를들어, "이 곳은 정말 맛있습니다. 분우기도 좋고, 추천합니다." 와 같은 단순한 문장이 많으면 색인 거부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저도 긴 문장이나 다소 어려운 주제를 다룬 글에서는 색인생성 요청이 잘 되었는데, 맛집 리뷰를 다소 성의없이 썼을 때 색인생성 거부가 되는 경험이 있습니다.
→ 해결방법
- 글의 길이는 최소 500자 이상으로 작성해주세요.
- 단순한 문장 대신 구체적인 경험을 추가하세요.
"이곳의 크루아상은 겉은 바삭하고 속은 부드러웠으며, 버터 풍미가 진했다." 처럼 말이에요.
- 반복되는 키워드 사용을 피하고, 자연스러운 문장을 작성하세요.
3. 신뢰도가 낮은 경우
티스토리를 새로 개설했거나, 글이 많지 않으면 구글이 신뢰할 수 없는 사이트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특히, 내부 링크가 부족하거나 업데이트가 드물면 색인이 잘 되지 않습니다.
→ 해결방법
- 꾸준히 정기적으로 글을 업데이트하세요.
- 새 글을 작성할 때 이전 글과 연결되는 내부 링크를 추가하세요.
예를들어, "지난번 방문한 카페 리뷰도 함께 확인하세요 -> (링크)" 처럼 말이에요.
- 사이트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다른 블로그나 SNS에서 티스토리 글을 공유하세요.
4. robots.txt 또는 noindex 설정 문제
티스토리 설정에서 검색 엔진 색인을 차단하는 옵션이 활성화되어 있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robots.txt 파일에서 검색 엔진 크롤링을 막고 있는 경우 색인이 거부될 수 있습니다.
→ 해결방법
- robots.txt 확인
- https:// 블로그주소 / robots.txt 에 접속해서 Disallow: / 같은 제한이 걸려 있다면 수정이 필요합니다.
5. 색인 요청을 너무 자주 한 경우
구글 서치 콘솔에서 짧은 시간 안에 여러 번 색인 요청을 하면 일시적으로 제한될 수 있습니다.
→ 해결방법
- 한번 색인 요청을 했다면 최소 2~3일 정도 기다린 후 다시 요청하세요.
- 색인되지 않은 글을 약간 수정한 후 다시 색인 요청을 해보세요.
6. 구글이 색인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한 경우
구글에서 "색인 생성할 필요가 없는 페이지"라고 판단하면 색인이 거부될 수 있습니다.
이는 내용이 너무 짧거나, 기존 정보와 차별성이 없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 해결방법
- 글의 길이를 1,000자 이상으로 늘리고, 직접 경험한 정보를 추가하세요.
- 사진을 추가하고, alt태그(설명)을 적절히 활용하세요.
-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h2, h3 태그를 사용하고 문단을 나누세요.
결론 : 색인 생성 거부 해결을 위한 핵심 정리
- 중복 컨텐츠 방지 → 글을 수정하고, 개인적인 경험 추가
- 품질 높은 콘텐츠 작성 → 구체적인 설명과 자연스러운 문장 사용
- 사이트 신뢰도 향상 → 내부 링크 추가 + 꾸준한 업데이트
- 티스토리 설정 확인 → 검색 노출 허용 + robots.txt 점검
- 색인 요청 전략적 진행 → 너무 자주 요청하지 말고 수정 후 재요청
위의 방법을 적용하면 구글 색인 생성 거부 문제를 해결하고, 검색에 잘 노출도리 확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색인 생성이 잘 되면 방문자 유입이 증가하고, 애드센스 승인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모두 잘 해결하셔서 노출이 잘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재테크와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시장의 군중 심리 : 가격과 추세를 결정하는 힘 (0) | 2025.02.18 |
---|---|
[티스토리 수익화] alt 태그란? 티스토리에서 alt 태그 설정하는 방법 (1) | 2025.02.06 |
딥시크, 중국 AI의 새로운 도전: 챗gpt를 능가할 수 있을까? (0) | 2025.01.31 |
[주식 기초] 꼭 알아야 하는 주식, 배당 관련 용어 (0) | 2025.01.28 |
[재테크 기초 개념] 채권 쉽게 이해하자! 채권의 개념 / 종류 (0) | 2025.01.23 |